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D프린터 관련주 대장주 TOP10

by warrenbuffett 2021. 12. 21.
반응형

3D프린터 관련주 대장주 TOP10

3D 프린팅 기술은 제조업의 혁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30여 년 전부터 이미 존재했던 3D 프린팅 기술이 2010년대 초반부터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유를 살펴봤습니다. 3D 프린터로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시대지만 한계도 존재합니다.

2016년 후반 글로벌 기업 제너럴 일렉트릭(GE)은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 스웨덴의 아캄 AB와 독일의 콘셉트 레이저라는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3D 프린터를 이용해 메탈, 즉 금속 부품을 만든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GE의 포트폴리오와 전혀 상관없는 3D 프린팅 기업을 1조원이 넘는 거금을 투자해 인수한 이유가 뭘까.

GE가 인수한 이유를 알려면 10여 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려야 합니다. 비행기 엔진을 개발하는 CFM이라는 기업이 있습니다. GE가 프랑스 엔진 기업 사프란 에어크래프트 엔진(과거 스넥마)과 함께 설립한 조인트 벤처다. 이곳에서 비행기 연료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엔진 개발 성공을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마지막까지 풀지 못한 숙제가 있었는데, 바로 연료 노즐이었습니다. 너무나도 복잡한 부품과 공정 탓에 만드는 데 계속 실패했습니다. CFM은 3D 프린팅 업체 모리스 테크놀로지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비밀 단서 조항을 달고 이곳에 설계도 파일을 보냈습니다. 며칠 후, CFM 관계자들은 보통의 엔진 연료 노즐보다 25%나 가볍고 5배나 영구적인 부품을 마주했습니다. 모리스에 건넨 연료 노즐은 20개 부품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모리스 테크놀로지가 개발에 성공한 제품은 단 하나의 부품이었습니다. 2012년 GE항공은 모리스 테크놀로지를 인수해 비밀리에 헬리콥터 엔진 부품을 3D 프린터로 만드는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18개월 만에 헬리콥터 부품의 반 이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900여 개 부품을 단 16개로 줄였습니다. 심지어 300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던 것이 단 하나의 부품으로 다시 태어나기도 했습니다. 2014년 CFM 팀은 GE항공 대표에게 이 성과를 보고했습니다. 대표는 곧바로 GE 대표와 이사회에 이 사실을 알렸습니다.

GE항공은 미국 인디애나주 라파예트에 엔진 조립 공장을 건설했습니다. 이곳에서 3D 프린팅 기술로 만든 연료 노즐과 탄소섬유 복합소재로 만든 팬 블레이드를 장착한 엔진을 개발했습니다. LEAP라는 이름의 차세대 엔진입니다. GE항공 역사상 가장 잘 팔린 엔진으로 꼽힙니다. 2017년 10월까지 엔진 1만2200개를 주문 받았습니다. 총 1700억 달러(약 191조)에 달합니다. GE는 미국 앨라배마주 오번시에 3D 프린팅으로 연료 노즐을 만드는 공장을 또 건설했습니다. 3D 프린팅의 효과를 본 GE가 10억 달러에 3D 프린팅 기업을 인수한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GE는 메탈 프린터 관련 사업을 위한 ‘GE애디티브(Additive, 적층이라는 뜻으로 3D 프린팅의 한 기법이다)’ 사업부도 설립했습니다.

3D 메탈 프린팅, 대세로 떠올라

 

GE항공이 3D 프린팅으로 항공기 엔진 부품을 만들면서 3D 프린팅 패러다임은 플라스틱에서 메탈로 바뀌었습니다. 그동안 3D 프린터는 제품의 프로토타입 정도만 만들 수 있다는 선입견이 있었지만, 이것을 깼기 때문입니다. GE항공은 3D 프린팅으로 금속 부품까지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3D 프린터로 만든 금속 부품은 안전할까. 자동차나 항공기 같은 운송수단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는 안전입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펴낸 자료에 따르면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가 3D 프린터로 제작된 금속 부품의 성능이 주조와 단조의 중간 정도로 상당히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전했습니다. 3D 프린터로 만든 금속 부품의 안전성도 입증된 셈입니다.

3D 프린팅 시장은 이제 플라스틱이 아닌 금속 부품 제작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1위 3D 프린터 기업 스트라타시스는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지난해 2월에는 메탈 3D 프린터를 개발하는 미국 스타트업 ‘데스크톱 메탈’이 구글과 BMW 등으로부터 4500만 달러(약 506억원)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도 나왔습니다. 2015년 10월 이후 97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과 일본도 이 분야에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D 프린팅은 제조업에 혁신을 불러오는 도구라는 평가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013년 2월 당시 한 연설에서 “3D 프린팅은 우리의 제조 방식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몰락하던 미국 제조업을 3D 프린팅으로 되살릴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인 것입니다.

3D 프린팅 시장 규모도 매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경영 컨설팅 기업 Wohlers Associates는 “2016년 3D 프린팅의 세계 시장 규모는 전년보다 17.4% 증가한 61억 달러(약 6조8600억원)였고, 2022년까지 262억 달러(약 29조4700억원)로 고속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3D 프린팅 시장을 이끌어가는 나라는 미국입니다. 원천기술을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고, 부품 생산활동도 가장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 MarketsandMarkets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3D 프린팅 시장에서 39.3%를 점유해 1위를 차지했고, 2위가 독일(9.2%), 중국(7.4%)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한국의 점유율은 1.8%로 3D 프린팅 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11위에 그쳤습니다.

선진국에 비해 약 2년 정도 뒤처진 것으로 평가되는 3D 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한국 정부도 나섰습니다. 지난 2월 26일 과기정통부, 산업부, 기재부 등 관계부처가 함께 ‘2018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D 프린팅 기술표준 선도, 3D 프린팅 전문기업 육성, 3D 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및 현장형 교육 강화 등 12개 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3D 메탈 프린팅 분야를 위한 투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D 프린팅 산업은 크게 하드웨어인 3D 프린터와 소재·원료, 3D 프린팅을 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나뉜다.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는 “현재 한국 기업이 사용하는 하드웨어와 소재, 솔루션은 대부분 수입”이라며 “국산화가 안 되어 있다는 게 약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세중(03931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세종은 1995년에 (주)한컴리서치로 설립된 후 2006년 (주)세중여행과 합병하여 현재 여행알선 및 항공권 판매, 화물운송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주요 사업은 여행알선 및 항공권 판매를 담당하는 여행부문, S/W 및 기타산업판매를 담당하는 IT부문으로 구분되며, 2018년 육상운송사업을 중단함.

- 세종은 종속기업으로 (주)세중정보기술과 (주)세중에스앤씨, 여행업을 영위하는 Sejoong Vietnam Co., Ltd.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 10월 (주)나도는 폐업함.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세중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각국의 봉쇄조치로 항공운항이 중단됨에 따라 법인들의 해외출장 감소로 항공권, 여행알선 매출 급감하여 전년 동기 대비 외형은 축소함.

- 외형축소 및 고정비 부담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률은 저하되었으나, 외환차익, 잡이익 등의 기타 영업외 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 향상됨.

- 세중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관광객 유입이 회복되지 않아 여행업 관련 매출이 감소세를 지속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수익성 역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스맥(09944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스맥은 MCT, CNC선반, 산업용 로봇 등을 생산하는 공작기계 제조업과 유/무선 통신장비인 게이트웨이를 생산하는 통신장비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함.

- 경남 김해시 주촌면에 본사 및 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동탄산단 소재에 사무소 및 ICT연구소, 대구 달성군에 대구 테크노폴리스를 두고 있음.

- 스맥은 2016년 대구 테크노폴리스 내에 연간 2천 억 규모의 생산능력을 가진 신규 공장을 완공, 로봇, 정밀공작기계, 융복합 장비 등 고부가 사업 영위하며 성장동력 확보함.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스맥은 MCT, CNC선반 등 주력 기계사업 부문의 수주 부진한 가운데 PLC 모뎀, 유지보수 용역 등 ICT 부문도 부진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크게 감소함.

- 매출 감소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 전환, 기타수지 개선과 사채상환이익 등 금융수지 개선에도 순손실 규모는 확대.

- 스맥은 스마트팩토리 및 공장자동화 확대 추세에도 글로벌 경기침체와 기계산업의 회복 지연, 기업들의 설비투자 둔화 등으로 매출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이라 전망됨.


신도리코(02953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신도리코는 국내 최초로 복사기, 팩시밀리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등 사무 자동화의 선두주자로 발전해 온 Output Product 전문업체이며, 3D 프린터 관련주임.

- 신도리코는 신도(청도)전자유한공사, SINDOH(Hong Kong), 신도 중앙 판매(주), 신도디에스판매(주)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복사기, 팩시밀리와 프린터를 중심으로 정보통신과 시스템 비즈니스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신도리코는 코로나19 영향 및 출력물 시장의 축소 등에 따른 사무용 복합기의 국내외 판매 부진 등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 원가구조 개선에도 판관비 부담 크게 가중되며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 전환, 기타이익 증가 등에도 순이익 적자 전환.

- 신도리코는 산업용 3D프린터 시장의 본격 진출이 기대되나 전자문서 결제 추세로 주력상품의 수요가 위축되고 있는바 외형 회복은 제한적일 것이라 전망됨.


에스티아이(03944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에스티아이는 반도체 제조용 기기 및 장비 제조,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 에스티아이의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및 Display용 C.C.S.S.(중앙약품공급시스템),Wet System(현상, 세정, 식각 system) 등이 있음.

- C.C.S.S 부문에서 40%, Cassette세정기 부문에서 70%, Wet System 부문에서 2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에스티아이는 Wet 시스템 부문의 내수 증가에도 주력제품인 중앙약품공급시스템의 국내외 수주 부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규모 축소함.

- 매출 감소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의 확대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법인세 감소에도 금융수지 저하되며 순이익률도 하락.

- 전방 반도체 산업의 회복세 및 설비투자 확대, 공정 고도화, 중화권 업체들의 투자 확대, 신제품 잉크젯 OCR 양산 기대 등으로 매출 회복세 보일 것으로 전망됨.


티앤알바이오팹(24671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티앤알바이오팹은 2013년 의공학기기 제조, 판매 및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벤처기업으로 확인 받은 업체이며, 3D 프린터 관련주임.

- 바이오 잉크를 활용한 3차원 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생분해성 의료기기, 체외 시험을 위한 장기 유사체, 바이오 3D 프린트 시스템 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독자적 핵심기술 확보로 다국적 화장품 및 제약, 의료기기 업체와의 협력 연구 계약 체결과 유통 계약 체결을 맺은바 있으며 넓은 제품 포트폴리오 및 네트워크 보유함.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티앤알바이오팹은 미국향 위탁용역 매출 감소에도 국내 및 베트남향 생분해성 인공 지지체의 호조와 COVID-19에 따른 비접촉식 체온계 매출 발생으로 전년 동기 대비 6배 이상 외형 신장함.

- 판관비가 매출액을 상회하나 원가 부담 완화로 영업손실폭은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순손실폭도 축소되었음.

- 비접촉식 체온계의 매출 확대와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의 수주 증가가 기대되는바, 매출 성장을 통해 수익성 또한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하이비젼시스템(12670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하이비젼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카메라모듈(CCM)에 대한 자동 검사시스템 장비의 개발 및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그 밖에 영상 평가장치 및 기타 제품도 제조하고 있음.

- 직접제조설비를 보유하지 않은바 대부분의 공정이 외주가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삼성광통신, LG이노텍 등 카메라 모듈업체로 제품을 납품함.

- 하이비젼시스템은 국내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 시장은 동사와 (주)이즈미디어 등 4개 업체가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사는 비젼인식과 액티브 얼라인 부문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하이비젼시스템은 코로나 19 사태에 따른 주요 고객사들의 투자 지연 등으로 관련 검사장비의 수주가 둔화되며 매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축소함.

- 하이비젼시스템은 원가구조 저하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채무면제이익 발생 등 기타수지 개선에도 법인세비용 증가로 순이익률 하락함.

- 전방 스마트폰 산업의 수요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지연되었던 ToF 장비 매출인식 본격화 등으로 외형 성장 가능할 전망이며, 3D 프린터 관련주임.


휴림로봇(09071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휴림로봇은 1998년 11월 산업용 로봇 및 서보/모션 컨트롤러 등의 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본사를 두고 있음.

- 주력제품은 직각좌표 로봇, 수평 다관절 로봇, 데스크톱 로봇 등의 제조업용 로봇이며, 그 밖에 공공서비스로봇, 애완로봇 등 지능형 서비스 로봇도 일부 생산하고 있음.

- 휴림 로봇은 유통업을 영위하는 (주)디에스티파트너즈와 부동산 사업을 영위하는 (주)디에셋스테이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휴림로봇은 주력인 직각좌표 로봇 등의 수주 부진에도 로봇응용시스템 및 서비스용 로봇의 수주 호조로 매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 휴림로봇은 매출 신장에도 인건비 증가, 대손충당금 환입 감소 등으로 판관비 부담이 가중되며 영업손실 및 순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음.

- 휴림로봇은 글로벌 경기침체 및 COVID-19 관련 불확실성 지속 등에도 탑클라스와의 대규모 마스크 생산설비 공급계약 체결로 양호한 외형 성장세 이어갈 전망이며, 3D 프린터 관련주임.


TPC(048770) :: 3D프린터 관련주

기업개요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TPC는 생산설비의 자동화 시스템과 3D프린팅 및 로봇솔루션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인천광역시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주력 자동화 시스템 사업은 액츄에이터, 방향제어기기, FRL 등을 생산하는 공압 부문과 직교로봇, 리니어모터, 리니어로봇 등을 생산하는 모션 부문으로 구분됨.

- 알루미늄 가공업체인 케이에스티, 자동화부품 생산업체인 나노모션테크놀로지, 언론 및 출판 업체인 시이오뉴스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3D프린터-관련주
3D프린터 관련주 주식 주가 차트

- TPC는 모션사업 부문의 수주 호조에도 주력인 액츄에이터, 방향 제어기기 등의 수요 부진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 동기 수준에 정체됨.

- 원가구조 개선의 영향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 전환하였으며, 전년에 발생한 금융자산평가손실 제거 등으로 순이익도 흑자 전환함.

- TPC는 반도체의 소재 및 부품, 장비의 국산화 이슈와 마스크 장비 업체향 신규 수요 확대, 중국으로의 OLED 수주 지속 등으로 외형의 성장이 전망됨.


3D 프린터 관련주
3D 프린터 관련주

* 주의 -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자료 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 하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정보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