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관련주 대장주 9종목
국내 태양광 투자가 한국판 뉴딜에 힘입어 사상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블룸버그NEF(BNEF)가 반년마다 발간하는 ‘한국 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0 년 국내 태양광과 풍력 프로젝트 총 투자금액이 사상 최고인 42억 달러(4조9518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태양광 산업이 연간 재생에너지 투자금액의 86%를 차지하며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유틸리티 태양광 산업은 2020 년 36억 달러(4조2444 억원)를 유치해 전년대비 71% 증가했습니다. 한국판 뉴딜이 태양광 장기고정계약 물량을 확대하고 정부의 지원금 한도를 늘림으로써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는 분석입니다.
주목할 만한 대규모 프로젝트 투자는 특별 부지에 설치된 안좌 염전 태양광(96MW)과 현대 E&C 서산 매립지 태양광(65MW) 등입니다. 논밭과 임야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태양광 프로젝트의 경우 지역사회의 반대로 인허가 취득에 장기간이 소요돼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육상풍력 산업은 2020년 6억 달러(7074억원)를 투자 받아 2017년 이후 최고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경우 지역사회의 반대로 대부분 개발이 지연되고 있어 지난 2017년 이후로 신규 프로젝트 금융조달 역시 정체돼 있으며 누적 투자 금액은 6억 달러(7074억원)에 머물러 있습니다.
하지만 2030년까지 12GW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설치하려는 정부의 계획에 힘입어 새로운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석유 기업 토탈SE 와 맥쿼리 그룹 산하의 녹색에너지 투자 기업인 그린 인베스트 그룹은 2020년 3개의 특별목적회사를 세웠다. 두 기업은 울산과 전라남도에 2.3GW에 이르는 해상풍력 단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덴마크의 전력회사 오스테드 역시 인천 해상에 1.6GW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설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2020년 36개의 태양광과 4개의 풍력 프로젝트 파이낸싱 딜 규모(백만 달러)를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했습니다. 프로젝트 파이낸싱 딜 새만금 태양광 1차(99MW)는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금액을 투자 받았다. 남동발전과 현대엔지니어링이 공동 개발 중이며 2021년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입니다.
산업은행은 2020년 총 1억900만 달러(1285 억원)을 주관해 금융주선기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산업은행은 수직 통합된 전력 공기업인 한국전력의 최대 주주이며 정부에서 주관하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산업은행은 누적 4억7500만 달러(5600억원)를 주관해 역대 1 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새마을금고와 삼성생명보험이 신디케이트 대출기관 공동 1위를 기록했습니다. 두 기관은 새만금 태양광 1차와 현대 E&C 서산 매립지 태양광 리파이낸싱에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한국전력은 총 1억200만 달러(1203억원)를 태양광과 풍력 프로젝트에 투자해 스폰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전력의 발전자회사들은 대규모 육상 풍력 프로젝트 개발에 집중해왔습니다. 그러나 새만금 태양광 1차를 비롯한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에 투자함으로써 태양광 프로젝트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법무법인 세종은 2020년 법률 자문사 1위를 차지했습니다. 세종은 총 3억 4200만 달러(4032억원)규모의 태양광과 풍력 프로젝트에 자문을 제공했습니다.
제우스(07937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본사를 두고 있음.
-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종속기업 (주)쓰리젯 통해 플러그 밸브와 탭, 그 밖에 유사장치의 제조업을 병행하고 있음.
- 반도체 및 LCD 생산장비 제조업체인 J.E.T,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체인 솔브리지, 제강업체인 쓰리젯메탈 등 종속기업을 보유.
실적 및 분석
- LCD장비 및 태양전지 장비, 산업용 로봇 등의 수주 부진에도 주력인 반도체 세정장비의 공급물량 증가에 힘입어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감가상각비 등 판관비 증가에도 매출 신장에 따른 원가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발생 등으로 순이익률 상승.
- 전방 반도체 산업의 투자 지속과 습식 세정장비 시장 내 점유율 상승 등으로 외형 성장이 전망되며, 연구개발비의 안정화 등으로 수익성 향상도 기대.
파루(04320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영위하고 있음.
- 태양광 사업을 통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의 대부분은 미국 및 일본에서 발생하고 있음.
- 2008년 1월 가동을 시작한 454Kw급 태양광발전소인 (주)태인태양광발전소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인쇄전자 및 위생환경 부문의 호조에도 태양광추적장치의 국내 수주 급감의 영향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매출 감소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 전환, 종속기업투자주식처분이익 제거 등으로 순이익도 적자 전환.
- 정부의 에너지 전환 및 그린뉴딜 정책이 기대되나 태양광 프로젝트가 지연 및 연기되고 있는바 외형 회복은 다소 제한적일 듯.
한화솔루션(00983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태양광 사업 등을 영위하는 종속기업들을 보유하고 있음.
- 국내 LDPE 시장의 약 34%와 PVC 시장의 약 49%를 점유, 가성소다도 52%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광 부문은 셀 생산규모 기준 세계 1위임.
- PVC의 기능을 향상한 CPVC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울산2공장에 연산 3만t 규모 제조 설비를 구축, 수소첨가수지 사업 진출을 위해 2019년 완공하여 생산 중에 있음.
실적 및 분석
- 전방산업의 회복세로 PVC 및 가성소다 등 원료 부문의 성장, 자동차 등 부품관련 가공부문 및 태양광 부문의 실적 개선, 유통부문의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성장.
-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하였으며, 기타수지 및 금융수지 개선, 중단영업손실 제거 등으로 순이익률 상승.
- PVC를 중심으로 원료부문의 안정적인 성장세, 자동차 생산 증가에 따른 가공 및 유통 부문의 수요 증가가 기대되나 제품 가격 하락으로 태양광 부문의 성장은 제한적일 듯.
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현물출자하여 설립되었음.
- 태양광 셀, 모듈 및 태양광발전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2018년 5월 계열회사인 현대힘스(주)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인버터 및 ESS 판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음.
실적 및 분석
- 국내 태양광 설치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태양광모듈의 유럽향 수출 호조와 제어시스템 부문의 성장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운반비 등 판관비 감소에도 음성 셀공장 가동 재개 지연 등에 따른 원가구조 저하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며, 외환차익 감소 등으로 순이익률 하락.
- 글로벌 경기 회복세 확대와 각국의 친환경 인프라 투자에 따른 태양광발전의 전환 가속화, 모듈공장 증설 효과 등으로 외형 성장 가능할 듯.
OCI(01006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주)으로 상호 변경, 2009년 4월 현재의 상호로 변경함.
-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 업체로 베이직케미컬(폴리실리콘과 TDI 등), 카본케미컬(핏치와 카본블랙 등), 에너지솔루션(열병합 발전소 등)과 도시개발사업, 기타 사업으로 구분됨.
- 종속회사인 OCIM Sdn. Bhd.는 연간 3만톤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3만 5천톤으로 확대하기 위해 생산공정 개선을 진행 중에 있음.
실적 및 분석
- 에너지솔루션부문의 부진에도 중국향 폴리실리콘 수요 증가 및 판가 상승, 타이어시장 성장에 따른 카본블랙 등의 수요 증가, 도시개발사업의 매출 반영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성장.
-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흑자전환 하였으며 금융수지 저하 및 법인세비용 발생에도 순이익 역시 흑자전환.
- 태양광 수요 증가세로 폴리실리콘의 지속적인 수요가 기대되는 가운데 생산확대를 위한 Wafer 증설, 카본블랙 및 벤젠의 성장세, 도시개발사업의 가속화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
SDN(09922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있음.
- 국내 선외기 부문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시장을 선도 중인 엔진조선사업부와 국내외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태양광모듈을 생산, 판매하는 태양광사업부로 구분됨.
-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에너지농장(주), 에스디엔엔지니어링(주), Solar Group System EAD 등을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엔진/조선사업 부문의 성장과 전력판매 호조에도 발전시스템 및 태양광 전지판의 수주 부진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매출 부진 및 인건비, 판매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며, 파생상품평가손실 기록 등으로 순이익 적자전환.
- 전방 조선산업의 수주 회복세와 함께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 확대에 따른 관련 발전설비의 수주 증가 등으로 외형 성장 가능할 듯.
광명전기(01704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 사업부는 수배전반 부문, 전력기기 부문, 태양광발전시스템 부문, 임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및 아시아 지역에서 매출이 발생.
- 종속기업으로는 (주)케이엠씨(배전반, 개폐기 등 무역업), (주)이엔에스(수배전반, 시스템 제조판매)를 보유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임대료 수익 증가에도 수배전반의 해외 수주 위축과 공사수익 감소, 태양광발전시스템 부문의 부진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원가구조 저하와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하였으며,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발생에도 순이익률 하락.
- 글로벌 경기 회복세 확대와 각국의 건설/인프라 투자 지속,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 한국전력의 송배전 설비투자 증가 등으로 외형 회복 가능할 듯.
신성이엔지(011930) :: 태양광 관련주
기업개요
사업부문 이외에 클린룸 사업부문과 자동화설비 사업부문을 영위함.
- 그러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2018년 6월 자동화설비 사업부문(신성에프에이)을 중국 시아선인베스트매니지먼트에 양도하였음.
- 우리기술투자(주), (주)신성씨에스, (주)지셀이엔씨 등의 국내 계열회사와 신성이엔지베트남(유) 등의 해외 계열회사를 두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주력인 클린룸 및 공조시스템, 설치공사의 국내외 수주가 위축된 가운데 재생에너지 부문도 부진한바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외형 축소에 따른 원가구조 저하와 인건비, 감가상각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금융원가 감소 등에도 순이익 적자전환.
-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향 반도체 클린룸 관련 수주 증가, 신규 2차전지 장비의 매출 가시화, 호반건설, 한화시스템 등과의 태양광 모듈 수주 확보 등으로 외형 회복 전망.
* 주의 -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자료 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 하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정보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