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관련주 대장주 6종목
모더나코리아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완제 위탁생산한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삼바의 국내 의약품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모더나 mRNA 백신의 정식 품목허가로 국내 판매 및 해외 수출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코로나19 백신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이후 삼바는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 소요 기간을 대폭 단축했고, 계약 체결 후 5개월만에 초도생산 물량을 국내에 출하해 백신 수급을 확대했습니다. 모더나코리아는 11월 초 스파이크박스주라는 제품명으로 식약처에 정식 품목허가를 신청했고, 한달 여 만에 품목허가를 획득했습니다.
국내에서 처음 완제 생산되는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모더나,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부가 신속하고 긴밀하게 협업해 빠른 시간 내 모든 절차를 완료, 제품승인을 획득하게 됐다고 삼바측은 설명했습니다. 삼바가 생산한 모더나 mRNA 백신은 필리핀(11월 26일)과 콜롬비아(12월 2일)에서도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습니다. 스티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한국 식약처의 신속한 품목허가 결정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완제품 생산 파트너십은 모더나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능력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모더나는 생산 파트너들과 함께 코로나19 팬데믹 종식에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한국 정부와 모더나의 신속한 대응과 긴밀한 협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제품이 국내 첫 mRNA 백신 품목허가를 받게 된 것은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품질과 스피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입증할 수 있어 자랑스럽고, 코로나19 팬데믹과의 전쟁에서 백신 공급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정부 및 고객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녹십자홀딩스(00525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2001년 지주회사에 대한 사업목적을 승인 받아 생명공학 및 헬스케어 관련 기업을 사업자회사로 둔 순수지주회사로 경영시스템을 전환하였음.
- (주)녹십자 및 (주)녹십자엠에스, (주)녹십자웰빙, Green Cross HK Holdings Limited 등 다수의 국내외 법인을 보유하고 있음.
- 이에 동사를 지주사로 두고 사업자회사 녹십자를 중심으로 혈액제제, 백신, ETC, OTC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녹십자 자회사를 통해 바이오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실적 및 분석
- 혈액제제류와 일반제제류 판매 감소에도 COVID-19 영향에 따른 백신제제류와 OTC류 판매 증가, 의료 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 부문도 수주 증가하며 전년대비 매출 성장.
- 원가율 하락에도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소폭 하락, 영업외수지 개선과 중단영업이익 발생으로 순이익은 전년대비 흑자전환.
- 주력 백신제제류 성장의 지속, 내수경기 개선과 COVID-19 완화 기대로 혈액제제류 및 일반제제류, OTC 판매도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
나노엔텍(03986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나노엔텍은 나노바이오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생명공학, 진단의료기기, 면역진단기기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NanoenTek America Inc. 등이 있음.
- 갑상선질환 진단기기인 FREND Free T4에 대해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미국판로 확대 및 일본, 유럽시장으로의 진출도 강화될 듯.
- 인도 체외진단 전문기업인 BHPL과 투자 및 판매계약을 체결, BHPL 공장에서 정량진단기기 FREND와 신속진단키트를 생산하여 가격경쟁력 및 유통기지 확보에 나설 예정이며, 모더나 관련주임.
실적 및 분석
- 나노엔텍은 생명과학 소모품의 수요 부진에도 유전자전달장비의 판매 증가와 미국 적십자향 혈액제제분석기 ADAM-rWBC의 수출 호조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Neon, ADAM-rWBC 등 주요 제품가격 상승으로 원가구조 개선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나 법인세비용 증가로 순이익률은 하락.
- 기존 주력제품의 수요 증가세와 COVID-19 관련 진단키트의 미국, 브라질, 멕시코 등 북남미지역 및 벨기에 등 유럽지역의 추가 인허가 획득 등으로 외형 성장 이어갈 듯.
녹십자(00628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녹십자는 혈액제제와 백신 중심의 사업을 담당하는 녹십자그룹의 제약회사로 수출 시장은 백신 중심의 성장을 보이는 한편 혈액제제 시장 또한 수출 시장 확대 중.
- 2015년 11월 4가 독감백신을 개발, 식약청에서 판매를 승인받아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2016년 3월 WHO에 대규모 독감백신 수주 확보.
- 2016년 수출 물량 증가와 북미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혈액제제 생산시설을 2배로 증설하여 연간 최대 140만L의 혈장처리능력을 보유하였고 추가 증설로 270만L 확보.
실적 및 분석
- 녹십자는 혈액제제류의 부진에도 OTC류, 독감 등 백신제제 부문 호조와 검체 등 진단 분석 매출 영향으로 외형은 전년동기대비 성장.
- 원가율의 하락으로 판관비 부담 확대에도 영업이익률이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며 기타수지 및 금융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 또한 상승.
- 독감 백신의 수요 확대가 기대되는 가운데 중국에서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의 시판허가, COVID-19 혈장치료제의 임상 2상 등으로 외형 성장 및 수익 상승 이어갈 듯.
소마젠(95020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소마젠은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으로 사업부문은 바이오사업부와 케미컬사업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더나 관련주임.
- 2011년 9월 에프씨비파미셀과의 합병으로 바이오사업의 시너지 효과 발생, 2013년 원료의약품 전문기업인 아이디비켐(주)을 자회사로 인수하여 케미컬사업부를 신설하였음.
- 2016년 11월 울산에 바이오케미컬 사업부 연구소를 준공하여 뉴클레오시드, 엠피이지 등 차세대 바이오 신약 원료와 전자재료 등 화학 기반 제품의 연구개발을 담당.
실적 및 분석
- COVID-19의 영향으로 COVID-19진단키드 수요 확대와 리보핵산 치료제 매출 증가에 따라 케미컬사업부문 호조를 바탕으로 바이오사업부문 부진에도 전년동기대비 외형 신장.
-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상승한바, 기타수지 저하 및 법인세 비용 부담에도 순이익률 또한 상승.
- 소마젠은 COVID-19진단키드 수요 확대 및 리보핵산 치료제 매출 증가, 항암면역세포치료백신 및 발기부전 줄기세포치료제가 각각 임상 1상과 2상에 진입한바, 외형 성장으로 수익 상승세 지속 중이며, 모더나 관련주임.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에이비프로바이오는 중국 소재 연결 자회사를 두고 IT(스마트폰), 자동차부품 가공에 쓰이는 소형 머시닝센터(MCT)를 제작하는 업체로, 2015년 4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 머시닝센터와 Unit이 주력품목으로, Unit은 중국 자회사에 제품 생산을 위해 수출하고, 머시닝센터는 OEM판매와 대리점을 통하여 국내 및 중국, 북남미, 유럽 등에 공급함.
- 에이비프로바이오는 2016년 중 신규사업 및 사업의 다각화 추진을 위해 유지글로벌(화장품), UGINT HK LIMITED(홍콩법인) 등을 종속회사로 편입하였으며, 모더나 관련주임.
실적 및 분석
- COVID-19 확산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국내외 수주 위축과 카지노 자회사들의 부진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축소.
- 원가율 하락의 영향으로 영업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축소, 그러나 파생상품평가이익 감소 및 무형자산손상차손 발생 등 기타수지 저하되며 순손실 규모는 크게 확대.
- 에이비프로바이오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매출 회복은 제한적이나, 자회사를 통한 면역 항암제에 대한 미국 임상 시작 등으로 장기적인 성장동력 확보는 기대되며, 모더나 관련주임.
엔투텍(22795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엔투텍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의 진공Chamber와 특수 진공밸브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Laser Pattern관련 기술과 Vision 검사설비를 신규사업으로 추진.
- 사업부문은 부품사업(반도체 핵심 장비(CVD, D/E) 및 FPD(LCD/OLED) 핵심 부품 가공)과 Valve사업(반도체용 진공 및 FPD용 Valve 제조)으로 구분됨.
- 2019년 하반기 엔터테인먼트 업체인 에이스팩토리와 LED 응원봉 등의 제조업체인 비트로를 종속기업으로 편입, 2020년 2월 에이스팩토리를 합병하였으며, 모더나 관련주임.
실적 및 분석
- 2019년 중 결산월을 12월에서 6월로 변경하였으며, 3분기 매출액은 에이스팩토리와 비트로의 연결 편입 영향으로 크게 증가하여 38,290백만 원을 시현하였음.
- 분기영업이익 937백만 원을 시현하였으나, 파생상품평가손실 등 금융수지 저하로 5,491백만 원의 분기순손실을 기록하였음.
- 전방 반도체 업황의 회복세로 반도체 장비 수주 증가, 드라마 제작 부문의 성장, 나노 마스크 생산시설 구축 등으로 외형성장세 이어갈 듯.
파미셀(00569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파미셀은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를 개발한 바이오 제약 전문기업으로 사업부문은 바이오사업부와 케미컬사업부로 운영되고 있음.
- 2011년 9월 에프씨비파미셀과의 합병으로 바이오사업의 시너지 효과 발생, 2013년 원료의약품 전문기업인 아이디비켐(주)을 자회사로 인수하여 케미컬사업부를 신설하였음.
- 2016년 11월 울산에 바이오케미컬 사업부 연구소를 준공하여 뉴클레오시드, 엠피이지 등 차세대 바이오 신약 원료와 전자재료 등 화학 기반 제품의 연구개발을 담당중이며, 모더나 관련주임.
실적 및 분석
- COVID-19의 영향으로 COVID-19진단키드 수요 확대와 리보핵산 치료제 매출 증가에 따라 케미컬사업부문 호조를 바탕으로 바이오사업부문 부진에도 전년동기대비 외형 신장.
- 원가율 하락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상승한바, 기타수지 저하 및 법인세 비용 부담에도 순이익률 또한 상승.
- 파미셀은 COVID-19진단키드 수요 확대 및 리보핵산 치료제 매출 증가, 항암면역세포치료백신 및 발기부전 줄기세포치료제가 각각 임상 1상과 2상에 진입한바, 외형 성장으로 수익 상승세 지속.
에스티팜(23769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2008년 화공약품 및 원료의약품의 제조와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어 2010년 (주)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여 사업 영위 중에 있음.
- 신약 원료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의약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C형간염치료제 원료의약품 및 올리고 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등이 있음.
- 동사는 2010년 동아쏘시오그룹에 편입되어 글로벌 기준 설비와 품질 인증을 획득하였고 2016년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시설투자와 차입금을 상환하였음.
실적 및 분석
- 수출 시장을 중심으로 올리고 신약 원료의약품의 매출이 증가한 가운데 저분자 신약 원료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의약품 호조, CMO 매출 확대로 전년대비 외형 신장.
- 고마진의 올리고 원료의약품 매출 증가에 따라 원가부담 완화로 판관비 비중 상승에도 영업손실폭이 축소된바 순손실폭 또한 축소되었음.
- 2020년 추가 증설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로 2022년 RNA CMO 글로벌 1위가 예상되는 가운데 2020년 mRAN CDMO 진입 선언으로 국내 유일의 CDMO업체임.
한미약품(128940) :: 모더나 관련주
기업개요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주)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 확보.
실적 및 분석
- 아모잘탄패밀리, 로수젯 등의 주요 개량복합신약 매출 확보에도 COVID-19에 따른 중국 매출 부진과 해외 항생제 수출 부진으로 전년대비 외형 축소.
- 제품 및 상품 원가율 상승과 사노피와의 기술 계약 종료로 경상개발비가 확대된바 판관비 부담 완화에도 영업이익률이 전년대비 하락하였으며 금융수지 저하로 순이익률 또한 하락.
- COVID-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따른 주요 의약품의 제품 및 상품 매출 확대와 트리플 어고니스트 2b 중간 발표, 오락솔과 롤론티스의 미국 FDA 승인 등으로 외형 성장.
* 주의 - 본 자료는 투자를 유도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자료 입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만 하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정보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